본문 바로가기
심리학

[심리검사의 이해] 집 나무 사람 검사(HTP)3

by d10000se 2023. 3. 14.

3. 해석2

 

3) 지우개의 사용

- 지우개를 알맞게 사용하는 것과 그것에 따라 질적으로 향상되는 그림 : 유연성과 만족스러운 적응

- 과도하게 지우개를 사용하는 경우

: 불안정이나 초조

: 자신에 대해서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

: 불안하거나 조력을 원하는 욕구

: 신경증이 있는 경우(특히 강박 장애에서 자주 볼 수 있음)

 

(4) 위치

- 그림이 용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

: 정상이고 안정된 사람

: 정확히 중앙에 그린 경우 -> 불안정한 감정 또는 완고성(특히, 대인관계에서 융통성이 결여된 부분)

: 아동인 경우 -> 자기중심성이 강함, 정서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음

 

- 그림이 용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

: 의존성이 강함, 자신감이 없음

 

- 그림이 용지의 왼쪽에 위치하는 것

: 충동적인 행동의 경향이 있음, 즉각적으로 욕구를 충족하기를 추구함

: 외향성이 있음

: 자기중심적인 성향 강함

 

- 그림이 용지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

: 비교적 안정되고 행동이 통제된 사람

: 욕구 충족이 지연되고 있음, 정서적으로 만족하기보다 지적으로 만족하는 것을 선호함

: 내향성을 가지고 있음

: 환경이 변화하는 것에 민감함

 

- 그림이 용지의 위쪽에 위치하는 것

: 욕구 수준이 높거나 에너지는 적은데 과하게 보상 방어를 함

: 공상하는 것을 즐김, 야심이 많음, 성취를 위해 투쟁하는 사람

: 냉담, 초연, 낙천주의

 

- 그림이 용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

: 불안정한 감정, 부적절한 감정

: 우울한 경향을 가지고 있음

: 구체적이거나 현실적으로 사고하는 경향

: 성격이 조용하고 나서지 않음

: 아동일 경우에는 신경증의 가능성도 있음

 

- 그림이 용지의 위쪽 왼쪽 모퉁이에 위치하는 것

: 불안정감, 퇴행, 미성숙, 철수와 공상

: R/O 정신증

: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인 아동의 경우에는 정상

 

- 그림이 용지의 위쪽 오른쪽 모퉁이에 위치하는 것

: 안 좋은 과거를 억제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음

: 미래에 대해서 과도하게 낙관적임

 

- 그림이 어느 쪽이든 모퉁이에 자리 잡고 있을 때

: 철수 경향

 

- 그림이 종이의 아래쪽이나 가장자리에 자리 잡고 있을 때

: 불안정감, 자기 확인이 낮은 것에 대해서 지지받고 싶은 욕구, 불안함

: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,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에 대해 두려워함, 새로운 경험을 거부하는 경향 있음

: 환상에 심취해 있음

: 그림을 종이 아래쪽에 희미하게 그린 경우 -> 우울

 

- 그림을 그리는데 종이가 모자라서 완성하지 못한 경우

: 뇌가 손상됨

: 종이의 아래쪽이 모자란 경우 -> 과도한 억압이나 폭발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있음

: 종이의 왼쪽이 모자란 경우 -> 미래에 대해 고착된 두려움을 가지고 있음, 강박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있음

: 종이의 오른쪽이 모자란 경우 -> 기분 나쁜 과거에서부터 탈출하고 싶은 욕구가 있음

: 종이의 위쪽이 모자란 경우 -> 환상의 관용

 

(5) 선의 강도

이것은 피검사자의 에너지에 대한 지표로, 그림의 어떤 부분을 진하게 드리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 대한 고착된 것이 있거나 그 부분이 상징하는 것에 대한 적대감이나 억압을 나타낸다.

 

- 강한 선

: 자신감이 있는 사람

: 공격성, 독단성, 주장적, 분노 감정

: 기질적인 뇌 손상, 심하게 긴장된 피검사자

 

- 흐린 선

: 겁 많음, 우유부단, 억제된 성격

: 에너지가 낮음 : 감정표현을 억제하거나 억압함, 위축됨

: 피검사자가 지능이 낮음

: 신경증 상태 -> 강박, 불안 증상이 동반

: 우울증

: 만성 조현병

 

- 아동이 그린 흐린 선

: 에너지가 낮음

: 억제하는 성격, 억압이 강함, 박탈이나 거부의 경험이 있음

 

(6) 크기

용지의 2/3 정도를 사용하여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.

그림의 크기를 통해 피검사자의 자기 상이나 자존감, 자기 확대의 욕구 등에 대한 단서를 알 수 있다.

 

- 지나치게 큰 그림

: 공격적, 낙천적, 행동화 경향, 과장적 경향

: 억압을 방어하거나 부적절한 느낌을 보상

: 조증 상태

: 지능 지체 또는 뇌 손상

: 반사회적 성격 : 신체화

: 아동일 경우에는 정상임

 

- 지나치게 작은 그림

: 자존감이 낮음, 열등감, 불안

: 수줍음, 철수 경향, 과도한 자기 억제, 위축

: 의존적 경향, 스트레스 상황에서 위축된 행동, 퇴행적

: 약한 자아를 가지고 있거나 자아의 강도가 낮음

: 강박적인 성향

: 그림이 종이의 위치할 경우 -> 에너지가 낮은 것에 대한 통찰이 부족한, 심한 낙천주의

: 우울증

: 그림이 매우 작을 경우 -> 조현병

: 노인이나 아동일 경우 -> 정상

 

(7) 그림의 선

- 선의 방향

: 수평선 강조 -> 여성성, 자기방어적 경향, 두려움, 약함

: 수직선 강조 -> 남성적 주장성, 과잉 활동성, 결단력

: 곡선 강조 -> 유연성, 관습을 좋아하지 않음

: 경직된 직선 강조 -> 공격성, 억제적 경향, 경직성

 

- 선의 질

: 확신에 찬 선 -> 의욕적, 일관성, 안정성

: 끊긴 곡선 -> 의존적, 우유부단, 복종적, 감정적 경향

: 가장자리를 강조하고 들쭉날쭉한 선 -> 충동적 행동의 경향, 불안, 공격성

: 스케치 된 선 ->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과대 경향, 불안정감, 소심, 우유부단, 신중함과 정확함에 대한 욕구 청소년의 경우 갈등, 나쁜 자기개념, 낮은 자기 확신

: 끊기지 않고 곧은 선 -> 자부심이 강함, 주장적, 재빠르고 결단력이 있음 : 떨리고 흔들리는 선 -> 알코올 중독을 포함한 기질적 상태, 지능 지체, 정신증

: 선의 길이 -> 긴 획 / 행동을 잘 통제함 -> 짧고 이어지지 않는 선 / 흥분하기 쉬움, 충동적

 

(8) 세부 묘사

사람, 나무, 집 각각의 그림에는 꼭 그려야 하는 세부 요소들이 있다. 예를 들어 집 그림에서는 문과 창문, 벽, 지붕 하나를 꼭 그려야 한다. 나무 그림에는 줄기와 가지, 사람 그림에는 머리, 몸, 다리, 팔, 눈, 코, 입, 귀 등을 꼭 그려야 한다.

정상적인 사람은 그리려는 주제의 필수적인 것과 세부적인 것에 대해 몇 가지 부가적인 세부를 그린다. 기본적인 것에 대해서 생략하지 않고 과하게 세부적인 것에 집착하지 않는다.

 

- 필수 세부의 생략

: 심하게 퇴행한 환자(조현병 등의 영향)

: 지능 지체 : 청소년 성격장애

 

- 세무 묘사의 결여

: 부정적인 신체 심상, 불안, 철수

: 적응이 어려운 아동

: 우울증

: 신체형 장애

: 기질적 상태

: 지능 지체

 

- 지나친 세부 묘사나 빈틈없는 묘사

: 강박, 불안, 경직성, 과민

: 하게 될 행동에 대한 두려움 -> 외부에 대해서 위험한 곳으로 생각하는 것에 대한 투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런 행동은 통제력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반영된다.

: 조현병 초기

: 기질적 뇌 손상 초기

: 조증 - 기괴한 세부 묘사

: 정신증

: 아동일 경우 -> 심각하게 와해한 성격 - 세부적인 것에 이름 붙이기 : 정신증

댓글